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농업경제 부흥과 농촌사회 발전을 위해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특히 반복되는 농산물 수급조절 실패로 인한 농산물 가격 폭락 등 농촌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다.
◆ "농촌 생활환경 개선 위해 4차 산업 기술은 필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타 기관보다 선제적으로 4차 산업혁명 대응에 나섰고, 현재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연구원은 지난 2017년 ‘4차 산업혁명, 농업·농촌 대응전략’ 연구단을 꾸렸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활용해 농업 생산과 농식품 유통 등에 대한 대응 전략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이어 4년 넘게 수많은 연구결과들을 도출해냈다.
특히 지난해에는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4차산업혁명 기술과 연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혁신정책과 지원사업이 체계적으로 추진되지 않고 있어, 기술혁신을 통한 농촌 생활환경의 체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구진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연계한 농촌 생활환경 개선 방안으로, 농촌의 문화여가 분야에서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을 개발해 다양한 정보 제공, 오락, 쇼핑 등에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농촌 교육 분야에서는 현재 대학 중심의 무크(mooc, 온라인대중공개수업) 플랫폼을 초중고 교육을 대상으로 확대하고 농촌지역 학생에게 무료 개방해 교육기회를 확대할 것을, 농촌 교통 분야에서는 자율주행차량, 공유형 교통서비스, 수요응답형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5G와 사물인터넷(IoT)의 연계를 강조했다.
농촌 생활에너지 분야에서는 에너지 비용 절감과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의 적용과 농촌 가정 내 전력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플랫폼 및 수요자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제안했다. 복지 분야에서는 농촌지역의 독거노인과 사회적 약자를 위한 돌봄 로봇과 커뮤니케이션 로봇에 대한 보급 확대를, 안전 분야에서는 원격의료서비스와 농업기계 교통안전 시스템 및 사고감지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연중 선임연구위원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농촌 생활환경 개선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및 보급, 도시와 농촌의 연계를 위한 인프라 구축,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며, 이 모든 것이 원활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법, 제도가 사전에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4차산업혁명 시대 농촌 대응전략으로 활성화, 실용화, 인프라 구축, 거버넌스 체계 구축을 제시했다. 활성화를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자본 투자와 이를 통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지역별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농촌 관리․운영 플랫폼의 설치, 농촌 생활환경 애플리케이션 개발․보급을 제안했다. 실용화를 위해서는 스마트 기술의 확산을 위한 설치비 및 운영비 지원, 지역 특성과 요구사항을 결합한 시설의 보급을 강조했다.
◆ 농촌문제 해법 모색 노력…"AI타임스와 같은 전문언론 기사 도움"
AI와 빅데이터 도입에 앞서 현실 파악이 중요한 가운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촌 문제를 진단하고 미래를 고민하기 위해 세미나와 토론회를 잇따라 개최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후원으로 오는 30일 국립세종수목원 분재원에서 '농촌문제의 제도적 해법'을 주제로 좌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좌담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주최로 농촌의 현안과 문제점 등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농촌의 미래를 고민하기 위한 자리다. 좌담회 패널로는 지자체장, 현장 활동가, 변호사, 학계 등 전문가 집단이 참여해 농촌문제의 제도적 해법을 모색한다. 농촌 정주환경 악화 요인과 농촌 난개발의 원인과 해법, 미래 농촌의 모습, 도시계획과 농촌계획의 차이, 농촌형 토지이용제도의 필요성, 농촌 재생을 위한 제도적 해법 등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할 예정이다.
지난 6월에는 ‘농업·농촌 미래 주체 육성과 농촌 활성화’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 바 있다. 농정과제 발굴 및 추진방안 모색하고 국민적 관심과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각계 전문가와 정부부처 관계자 등을 초청해 진행됐다. 토론회에서는 성주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발전연구부장이 발표한 ‘농촌공간계획의 제도화 및 농촌협약’이라는 주제도 눈길을 끌었다. 성주인 부장은 "미래 지속가능한 농촌을 만들기 위해 현장의 환경‧경관 보전 활동 지원을 위한 농촌공간계획 제도화 및 농촌협약 확대 방안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각종 토론회에서 전문가들은 농촌문제 해결을 위해 4차 산업 기술 도입이 매우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한국농촌경제연구원도 최근 관련 산업과 동향에 더욱 관심을 보이고 있는 추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최근 AI타임스에서 보도한 '매해 반복되는 농산물 수급조절 실패..."빅데이터 도입·확산으로 악순환 고리 끊어야"' 기사를 연구원들에게 공유했다"고 밝혔다. AI타임스와 같은 전문언론의 기사에 대한 필요성에 공감한 것이다.
해마다 같은 대책을 내세우는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을 비판하고 국내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ICT 기술을 도입한 사례들을 알아볼 수 있었다는 후문이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업경제학회와 함께 지난 7월 제1회 농산물 수급 예측모형 경진대회를 개최했다. 농산물 수급 예측모형 경진대회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실측 조사한 데이터를 활용해 마늘과 양파, 배추, 무 등의 생산량 예측모형을 만드는 행사다. 이처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부단히 애쓰고 있다.
AI타임스 나호정 기자 hojeong9983@daum.net
[관련기사] 매해 반복되는 농산물 수급조절 실패…"빅데이터 도입·확산으로 악순환 고리 끊어야"
[관련기사] 영농형 태양광, 농촌 살리는 ‘묘수’로 삼아야
기사 및 더 읽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I·빅데이터로 농촌문제 해법 찾는다 - AI타임스 )https://ift.tt/3DT9cy4
문제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한국농촌경제연구원, AI·빅데이터로 농촌문제 해법 찾는다 - AI타임스"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