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유동성으로 버틴 '대출 부실'…“문제는 9월 이후, 건전성 위험” - 이투데이

korancanada.blogspot.com

주요 시중은행들의 6월 연체율이 5월보다 다소 낮아졌지만 대출이 급증하면서 발생한 착시효과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증가한 대출의 건전성 위험이 9월 이후로 늦춰지면서 하반기 경영악화가 불가피할 것이란 전망이다.

12일 금융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6월 말 대출 연체율(잠정)은 0.21∼0.33% 수준으로 집계됐다.

5월말(0.25∼0.40%)과 비교해 최저값과 최고값이 각 0.04%포인트, 0.07%포인트 하락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인 2월(0.27∼0.36%)보다도 낮다.

가계 대출만 보면, 연체율은 한 달 사이 0.18∼0.33%에서 0.13∼0.29%로 떨어졌다.

6월 기업 대출 연체율(0.18∼0.38%)도 5월(0.24∼0.39%) 수준을 밑돌았다. 업계 최상위권 A은행의 기업 대출을 세부적으로 보면, 기업 대출 연체율은 한 달 새 0.41%에서 0.37%로 0.04%포인트 감소했다.

중소기업(개인사업자 제외)의 연체율이 0.72%에서 0.61%로 0.11%포인트나 크게 하락했다. 개인사업자의 연체율도 0.01%포인트(0.26%→0.25%) 낮아졌다. 반면 대기업 연체율은 0.15%에서 0.16%로 0.01%포인트 늘었다.

연체율 하락은 전체 대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연체율 산식의 분모에 해당하는 전체 대출 규모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크게 늘어난 반면, 연체 대출 금액은 아직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다.

연체율은 총 대출채권 금액에 대한 1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잔액의 비율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로 3월 이후 전체 대출액은 급증한데 비해 대출 연체는 아직 본격적으로 발생하지 않아 건전성이 오히려 좋아진 것 같은 일종의 '착시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는 9월까지 약속된 정부의 대출, 보증 만기 연장도 대출 연체 시점을 늦추고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928조9000억 원으로 5월 말보다 8조1000억 원 증가했다. 올들어 3월(9조6000억 원), 2월(9조3000억 원)에 이은 세 번째로 많은 월별 증가 폭이다. 매년 6월 기준으로는 2004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 규모다.

가계 기타대출(잔액 242조원)의 경우 3조1000억 원이나 급증했다. 5월 증가액(1조2000억 원)보다 약 2조원이나 많고, 6월 기준으로 역시 최대 증가 폭이다.

은행권의 6월 말 기준 기업 대출 잔액(946조7000억 원)도 5월 말보다 1조5000억 원 많았다. 중소기업과 개인사업자의 6월 대출 증가액(각 4조9000억 원, 3조7000억 원)은 2004년 집계 이후 최대치다.

문제는 9월 이후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3월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진 대출 자금이 약 6개월 뒤 고갈된다. 만기 연장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가계나 소상공인을 포함한 기업들이 다시 한계 상황에 국면할 수 있다.

현재 개별 은행들은 하반기 들어 대출 업종과 개별기업의 상황을 재평가하는 등 비상경영에 들어갔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올 하반기를 넘어 자칫 내년 경영지표까지 악화 될 수 있는 만큼 이미 4월에 우량업체 재직자 대상 신용대출 한도를 일부 하향조정했다"며 "부실이 우려되는 대출 상품에 대한 대출 한도 하향 조정에 나서는 등 본격적으로 대출 건전성 관리에 들어간 상황"이라고 말했다.

Let's block ads! (Why?)




July 12, 2020 at 02:27PM
https://ift.tt/3fhG4Eh

유동성으로 버틴 '대출 부실'…“문제는 9월 이후, 건전성 위험” - 이투데이

https://ift.tt/2UBqv1U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유동성으로 버틴 '대출 부실'…“문제는 9월 이후, 건전성 위험” - 이투데이"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