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해법으로 공공병원과 의료인력 확충을 꼽고 이를 촉구하는 서명운동에 나서 주목된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의료연대본부는 지난 7일 서울 연건동 서울의대 정문에서 ‘공공병원과 인력확충을 위한 서명운동’ 및 캠페인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의료연대본부에 따르면 이번 서명운동은 코로나19로 드러난 한국의 의료공백을 해결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다.

의료연대본부는 “올해 3월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일어났던 대구에서는 2,000여명이 확진 판정을 받고도 입원할 병상이 없어 집에서 자가격리를 해야 했다”며 “코로나19 환자를 책임지고 치료할 수 있는 공공병원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들은 “일선 병원에서도 간호사가 부족해 대구로 보낼 수 있는 인력이 적었고 중환자실 간호사는 더욱 부족해 그 결과 제대로 훈련받지 못한 간호사가 투입됐고 그마저도 과로에 시달렸다”고 했다.
이들은 “이런 사태가 발생한 이유는 한국의 공공병원 비중이 약 10%로 매우 낮고 지역에서 책임지고 감염병을 맡을 공공병원이 없기 때문"이라며 "또 공공과 민간 가릴 것 없이 병원의 인력 배치 수준이 감염병을 대비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이에 의료연대본부는 ▲지역거점 공공의료기관을 설립 및 매입해 확충할 것 ▲감염병전문병원을 공공의료기관에 지정·설립할 것 ▲공공의대를 설립해 의료인력을 확보하고 간호인력을 확충할 것 ▲상병수당을 도입할 것 등 정부 요구안 4가지에 대한 서명운동에 나섰다.
서명운동을 진행한 현정희 의료연대본부장은 “최근 수도권과 광주에 확진자가 늘고 있다”며 “광주는 지방의료원이 없는 지역 대도시 중 하나로 집단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벌써 광주는 병상부족 문제가 드러나고 있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높였다.
현 본부장은 “앞으로도 지속될 수 있는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하려면 K-방역을 치켜세우는 것만 아니라 지역거점 공공병원을 설립하고 간호사 등 의료인력을 확충하는 실질적인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료연대본부는 오는 8월까지 매주 화요일 서명운동과 캠페인을 진행할 예정이다.
July 08, 2020 at 04:00AM
https://ift.tt/2ZTlofw
“지방의료원 없는 광주, 코로나19로 병상부족 문제 드러나” - 청년의사
https://ift.tt/2UBqv1U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지방의료원 없는 광주, 코로나19로 병상부족 문제 드러나” - 청년의사"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