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인력 부족 문제를 간호대학 입학정원 확대로는 해결할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간호교육의 질이 담보되지 않은 상황에서 간호학과 신설 및 증원이 일부 대학의 학생 수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받아들여져 역량을 갖추지 못한 신규 간호사들의 배출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결국 현장에 적응하지 못한 신규 간호사들의 높은 이직률 일부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간호대학장협의회 은영 회장(경상국립대 간호대학장)은 지난 2일 대한간호정우회가 개최한 ‘제1차 정책토론회’에서 교육여건과 환경을 갖춘 곳에 한해 학사편입제도를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은 회장은 “현장 간호사 부족 문제를 간호대가 메울 수 있는 방안이 있을지 고민해 봤다.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할 것 없이 간호사가 부족한 비수도권의 경우 지역공공간호사제도나 공중보건장학생제도를 통해 인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은 회장은 “이는 근본적인 대안은 되지 못한다”며 “수도권과 비수도권 의료기관 또 공공병원과 민간병원, 대형병원과 중소병원 등으로 구분해 간호사 임금 및 근무조건 격차 해소를 주 전략으로 삼아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간호이론과 실습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교육여건이 갖춰진 간호대의 경우 학사편입제도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며 “지금 입학하면 4년 후 보충될 인력이 되겠지만 학사편입으로 짧은 시간 내 역량을 갖춘 인력을 배출할 수 있다”고 했다.
은 회장은 교육여건만 마련돼 있다면 정규과정 4년이 아닌 2년 안에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학사과정을 마칠 수 있어 인력 배출 기간이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단, 학사편입제도 운영을 위한 전제조건이 우선돼야 한다고 했다. 제도 운영에 따른 예산을 해당 간호대학이 독자적으로 세우고 쓸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은 회장은 “간호대로 학사 편입한 학생들은 간호학에 열의를 품고 온 이들이 많다. 올해 서울에 있는 사립대에서 7학기제로 27명을 학사편입으로 받아 운영하고 있다”며 “단기간 내 자격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은 회장은 “일반 간호대학 입학정원 확대는 현재 입학생 수급에도 문제가 있고 지난 10년의 경험만 봐서도 좋은 대안은 아니다”라며 “간호사의 임금 및 근무환경 격차를 줄이는데 총력을 기울이는 동시에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라고 했다.
은 회장은 “교육여건이 갖춰졌다면 학사편입제도를 한시적으로라도 도입해 부족한 간호사 수만큼 일시적으로 기간을 정해 운영해 보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도 했다.
기사 및 더 읽기 ( 간호대 '학사편입제도', 간호인력 부족 문제 해결책 될까 - 청년의사 )https://ift.tt/2YcjycL
문제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간호대 '학사편입제도', 간호인력 부족 문제 해결책 될까 - 청년의사"
Post a Comment